시청자 커뮤니티

원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방향성 점검

작성자
코인알리미
작성일
2025-10-30 08:13:50
조회수
10
1. 가상자산 관련 법안 국회 계류 지속: 1) 기관간의 이견 존재, 2) 법안별 이견 존재, 3) 외국환거래법 등 관련 기초 법안 개정 필요 ////////////////////////////////////////////////////////////////////////////////////////////////////////////////// 원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가상자산 관련 법안들은 국회에서 계류 중인 상황이다. 국회에 발의된 가상자산 관련 법안은 총 7개로 디지털자산 기본법(민병덕), 디지털자산 혁신성장법(이강일), 스테이블코인 발행법(김현정), 스테이블코인 지급혁신법(김은혜), 스테이블코인 발행유통법(안도걸), 디지털자산 통합법(김재섭), 디지털자산 육성법(최보윤)이 있다. 현재 가상자산 관련 법안들이 국회에서 계류 중인 원인은 가상자산 관련 법안과 관련한 기관간의 이견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은행은 안정성 측면에서 은행 중심의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금융위와 국회에서는 혁신적인 디지털자산 산업 육성을 위해서 민간 참여를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법안별로 자기자본 요건, 가상자산 업권분류,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 인가제/허가제 등의 이견 차이가 존재하는 상황이며 이외에도 스테이블 코인의 국가간 자금 이동 규율을 위해 외국환거래법 등의 관련 기초 법안 개정도 필요한 상황이다 ////////////////////////////////////////////////////////////////////////////////////////////////////////////////// 2. 한국은행, 원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리스크 제기 ////////////////////////////////////////////////////////////////////////////////////////////////////////////////// 10.27일 한국은행은 ‘디지털 시대의 화폐, 혁신과 신뢰의 조화’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한국은행은 스테이블 코인의 프로그래밍 기능으로 다양한 대금 지급 조건 설정이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통해 빠른 해외송금과 낮은 수수료 지급이라는 장점이 존재한다며 스테이블 코인의 기술적 혁신을 인정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1) 디페깅 리스크, 2) 금융안정 위협, 3) 소비자 보호 공백, 4) 금산분리 원칙의 훼손, 5) 규제 우회와 자본유출 위험, 6) 통화정책 효과 약화, 7) 금융중개 기능 약화 때문에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 시 통화 및 금융시스템에 불안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외에도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 시 새로운 화폐로서 사회에 추가적 효용을 가져다줄지는 불분명하며 단순히 특정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에게 준비자산 운용 이익 향유를 위한 수단으로 끝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해당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은 민간 발행 원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오고 있다. ////////////////////////////////////////////////////////////////////////////////////////////////////////////////// 3. 한국은행, 비은행 은행권 중심 컨소시엄에 참가하는 방안을 바람직하게 보고 있는 상황 ////////////////////////////////////////////////////////////////////////////////////////////////////////////////// 국내에서 비은행의 스테이블 코인 발행 방안은 3가지가 논의되고 있다. 1) 일정요건을 충족한 비은행에만 허용, 2) 소수의 비은행에게 내로우뱅킹업 인가, 3) 비은행이 은행권 중심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방안이다. 현재 한국은행은 비은행이 은행권 중심 컨소시엄에 참가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하게 보고 있다. 컨소시엄에서 은행은 대주주로서 스테이블 코인 발행, 블록체인 설계, 규제 준수 등의 역할을 하며 비은행은 비즈니스 측면의 기술혁신(스마트계약), 상품 개발을 담당하며 유통을 담당하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해당 방안이 상당부분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스테이블 코인 도입 초기 단계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금융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한-미 3,500억달러 투자 리스크로 환율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민간 중심의 스테이블 코인 발행은 사실상 국내 자본 유출 수단으로 작동하여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환율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는 한국은행, 기재부 등 금융기관은 자본유출 방지, 환율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둘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은행이 지속적으로 견지해오던 거시건전성 및 자본유출 방지 측면에서 비은행권이 은행권 중심 컨소시엄에 참가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슈어넷이란 불법대여계좌 이용제재 안내
음성이 정상적으로 들리지 않을 경우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