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 커뮤니티

채권시장 관점의 스테이블코인 성장가능성은?(출처 : 삼성증권)

작성자
코인알리미
작성일
2025-09-02 10:27:47
조회수
54
GENIUS Act, 채권 시장에 어떤 의미? // GENIUS Act로 법적인 규제가 명확해지면서 은행권, 핀테크 기업, 유통업체 등 다양한 곳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추진 중이다. 보수적인 성장률을 가정해도 5년 후에는 1조 달러의 시장으로 커질 가능성이 있고, 이럴 경우 스테이블코인의 준비금이 93일 이하 T-bill 발행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의 6~8%에서 13~20%까지 늘어나 단기 미 국채 수요를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스테이블코인 시장 확대는 단기물 중심으로 시장 금리에 하락 압력을 가할 수 있으나, 장기물 금리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다. 급격한 금리 변화 시에는 채권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할 여지도 있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 국내에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정해진 부분이 거의 없어서 내용을 다루기 쉽지 않으며, 발행 주체와 준비 자산과 관련해 쟁점이 많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따른 준비금은 우선적으로 통안채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 통안채는 91일물이 정례 발행되고 있으며, 회전율이 높고 Repo거래도 활발한 편이다. 현재는 3개월 이하에서 91일물만 발행되고 있지만 과거처럼 14일, 28일 등 단기 영역을 세부화한다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보다 해외부문 자금 유입에 따른 통화 증가 압력이 낮아지면서 통안채 발행도 매년 감소하고 있으므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커져 단기물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경우 단기 국채 발행을 고려해 볼 여지도 있다. ----------------------------------------------------------------------------------------------------------------------------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얼마나 커지게 될까? // 보수적으로 예상해도 5년 후에는 2~4배 커지는 시장 //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이 다른 자산과 연관 산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가늠하려면 어떤 규모로 커질지도 중요하다. 크립토 시장 자체가 변동성이 크다 보니, 기준점을 잡기가 쉽지는 않다. 스테이블코인 시장 성장속도 또한 변동성이 큰 편인데, 한 해에만 3~4배 이상 성장하는 경우도 있었고, 역성장한 해도 있었다. 현재의 추세보다는 보수적인 수준에서 기준점을 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액은 작년에는 58% 늘었고, 올해에는 8/25일 기준으로 31%가 증가했다. 연말까지 남은 기간을 고려하면 올해 증가율도 50%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과거 변동성을 감안하여 연 20~30% 성장률 수준을 가정해 보았다. 스테이블코인 총 발행액은 현재 $2670억이고, 매년 20~30% 성장이 이어지면 5년 후에는 $6,640억 ~ $9,910억으로 계산된다. 2030년 말 스테이블코인 발행액은 현재보다 2~4배 정도는 커질 것이라고 보면 무리한 전망은 아닐 것이다. 참고로, 다수 기관들의 전망치는 이보다 훨씬 낙관적인데, 2030년까지 2조 달러 이상을 예상하는 기관이 다수다. 아직은 GENIUS Act 법안이 효력을 얻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점차 추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슈어넷이란 불법대여계좌 이용제재 안내
음성이 정상적으로 들리지 않을 경우 CLICK